전체 글54 집단에 관한 기본 이론들 사람들은 깨닫지 못하고 있을지 몰라도, 집단도 인간의 행동에 매우 강력하고 극적인 효과를 미친다.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이 있을 때와 혼자 있을 때의 행동을 달리한다. 사회적 촉진 사회 심리학과 관련한 가장 기본적인 이론은 사람은 혼자 있을 때 더 편안함을 느끼고 자기 행동에 대해 걱정을 덜 한다는 것이다. 이 방정식에 다른 사람을 더하면, 그 사람은 행동에 변화를 보이기 시작하고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을 더 강하게 자각하게 된다. 그 결과, 연구 보고서들은 사람들이 간단하고 잘 아는 과제를 다른 사람들 앞에서 더 훌륭하게 수행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반대로 새롭거나 어려운 일을 다른 사람이 보는 앞에서 하려고 한다면, 수행력은 오히려 떨어질 것이다. 이런 현상은 사회적 촉진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 2022. 9. 5. 해리 할로우 해리 할로우는 1905년 10월 31일, 미국 아이오와주 페어필드에서 태어났다. 당초 할로우는 오리건주의 리드 칼리지에 다녔으나 영어를 전공할 희망을 품고 스탠퍼드 대학으로 옮겼다. 1930년에 심리학 박사 학위를 따면서 스탠퍼드 대학을 졸업했다. 졸업에 이어, 할로우는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리고 1년도 채 되지 않아 그는 심리학 영장류 연구소를 설립했으며 1964년에는 이 연구소와 위스콘신 지역 영장류 연구소를 통합했다. 할로우는 이 연구소의 책임자가 되었으며, 거기서 의미 있으면서도 논란의 여지가 많은 실험을 자주 실시했다. 할로우의 연구는 '사랑'에 초점을 두었다. 그는 당시에 널리 받아들여졌던 애착 이론, 즉 사랑은 엄마의 양육에서 비롯되고 그것이 다른 가족 구.. 2022. 9. 2. 스탠리 밀그램 - (2) 밀그램이 발견한 것들 밀그램은 일단의 예일 대학생들에게 실험 대상자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충격까지 가할 사람이 어느 정도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랬더니 100명 중 3명 정도가 가장 높은 전압의 충격까지 가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그런데 놀랍게도, 밀그램은 자신의 연구에 참여한 학생 중 65%가 450 볼트의 충격을 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참가자들이 신음이나 못마땅해하는 듯한 웃음, 전율 등 내적 갈등의 신호를 보이긴 했지만, 그들 중 대부분이 실험에 계속 임하라는 관계자의 말에 복종했다. 실험이 끝난 뒤 참가자들을 면담할 때, 밀그램은 그들에게 전기 충격이 실제로 어느 정도 강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전형적인 대답이 '아주 고통스러웠을 것'이라는 식이었다. 밀그램은 심지어 참가.. 2022. 8. 31. 스탠리 밀그램 - (1) 정말 쇼킹한 심리학자 스탠리 밀그램은 1933년 8월 13일, 뉴욕의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헝가리 출신의 제빵업자였다. 아버지가 1953년에 세상을 떠나자 루마니아 출신인 그의 어머니가 빵 가게를 운영했다. 밀그램은 학교에서 언제나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제임스 먼로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그는 연극 연출에 적극적이었다. 이때의 경험이 밀그램에게 영향을 크게 미치게 된다. 훗날 밀그램이 사실적인 실험을 설계할 때 이런 배경이 큰 도움이 되었다. 정치학 학사로 뉴욕의 퀸스 칼리지를 졸업한 뒤인 1953년에 밀그램은 사회 심리학에서 박사 학위를 따기 위해 하버드 대학에 응시했다. 그때는 심리학에 학문적 배경이 전혀 없다는 이유로 입학을 거부당했으나 1954년에 최종적으로 하버드 입학.. 2022. 8. 30. 존 보울비 모성애 이론 존 보울비는 1907년 2월 26일, 영국 런던의 중상류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보울비의 아버지 앤터니 앨프리드 보울비는 준 남작이었으며 국왕 주치의 팀의 일원으로 일했다. 보울비는 그 시대 그 사회계층의 전통에 따라 자기 어머니와는 하루에 한 시간만 함께 있을 수 있었다. 당시에는 아이에게 애착과 보살핌을 보이면 아이를 망쳐 놓을 수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여섯 아이 중 하나로서 보울비는 대신에 유모와 매우 가깝게 지냈다. 보울비가 4세일 때, 유모가 그의 곁을 떠났다. 그때 그는 깊은 슬픔을 경험했으며, 그때의 아픔을 어머니를 여의는 슬픔과 비교했다. 보울비가 7세일 때, 그의 가족은 그를 기숙사 학교에 보냈다. 보울비는 훗날 이 일이 자신의 발달에 큰 상처를 남겼다고 회고했다. 이 .. 2022. 8. 26. 레프 비고츠키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 레프 비고츠키는 오늘날 벨라루스 공화국에 속하는 '오르샤'라는 곳에서 1896년 11월 7일 태어났다. 비고츠키는 1917년에 법률 전공으로 모스크바 대학을 졸업했다. 심리학에 관한 관심이 1924년에 다시 그가 모스크바의 심리학 연구소에 다니도록 만들었다. 비고츠키는 교육과 어린 시절의 발달과 관련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인지 발달 분야에서는 그의 영향력이 지금까지도 느껴지고 있다. 비고츠키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인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고 믿었다. 또한 사람들은 사회와 공동체라는 렌즈를 통해서 사물들로부터 의미를 끌어낸다고 믿었다. 비고츠키는 프로이트와 스키너, 피아제, 파블로프와 같은 시대를 살았다. 그럼에도 공산당이 그의 연구를 비판했으며, 그의 저작물 대.. 2022. 8. 25. 이전 1 2 3 4 5 6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