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스탠리 밀그램 - (2)

by 잡잡이 2022. 8. 31.

밀그램이 발견한 것들

밀그램은 일단의 예일 대학생들에게 실험 대상자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충격까지 가할 사람이 어느 정도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그랬더니 100명 중 3명 정도가 가장 높은 전압의 충격까지 가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그런데 놀랍게도, 밀그램은 자신의 연구에 참여한 학생 중 65%가 450 볼트의 충격을 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참가자들이 신음이나 못마땅해하는 듯한 웃음, 전율 등 내적 갈등의 신호를 보이긴 했지만, 그들 중 대부분이 실험에 계속 임하라는 관계자의 말에 복종했다. 실험이 끝난 뒤 참가자들을 면담할 때, 밀그램은 그들에게 전기 충격이 실제로 어느 정도 강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전형적인 대답이 '아주 고통스러웠을 것'이라는 식이었다. 밀그램은 심지어 참가자들이 자기 행동을 정당화하려는 노력으로 실험하는 동안에 학생을 평가절하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학생이 너무 멍청하기 때문에 전기 충격을 받아도 싸다'는 식으로 대답한 것이다. 밀그램은 이 실험을 통해서 '정상'으로 여겨지는 보통 사람도 어떤 상황에 처하면 다른 사람에게 엄청난 고통과 아픔을 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점을 성공적으로 보여주었다. 밀그램은 그런 높은 수준의 복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명령에 복종한 비율이 높았던 것은 권위적인 인물(실험 관계자)이 실제 현장에 있었기 때문이다.

• 많은 참가자가 실험이 예일 대학의 지원을 받은 것이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믿었다.

• 선생과 학생의 역할을 맡을 참가자를 선택하는 과정이 무작위인 것처럼 보였다.

• 실험 관계자들이 '유능한 전문가'라는 인식이 있었다.

• 참가자들에게 전기 충격이 고통스럽긴 하지만 위험하지는 않다는 식으로 귀띔했다.

 



윤리적 관심

밀그램의 복종 연구는 윤리적 절차와 관련하여 강력한 비판을 받았다. 실제로는 배우가 고통을 당하는 것처럼 연기를 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 참여한 실험 대상자들은 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고통을 가하는 것으로 믿게 되어 있었다. 이 실험은 대상자들에게 엄청난 스트레스를 안겨주었다. 얼굴도 모르는 이방인을 해치고 있다고 믿는 것 자체가 그들에게 충격을 안겨줄 수도 있었다.



좁은 세상 실험

복종 연구로 가장 유명함에도 불구하고, 밀그램은 이보다 훨씬 더 온화한 몇 가지 실험에도 참여했다. '6단계 분리'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그런 적이 있다면, 당신은 스탠리 밀그램에게 고맙게 생각해야 한다.

1950년대에 정치학자 이티엘 데 솔라 풀과 수학자 맨프리드 코첸이 몇 가지 질문을 제기했다. 서로 전혀 모르는 두 사람이 같은 사람을 친구로 두고 있을 확률은 어느 정도일까? 이 이방인들이 서로 연결되기까지 몇 단계를 거치게 될까? 10년쯤 지난 뒤에 스탠리 밀그램이 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제시하기 위해 "좁은 세상 실험"으로 알려진 실험을 실시했다.

밀그램은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와 캔자스주 위치타에 사는 주민 300명에게 지시사항과 함께 편지 300통을 주었다. 그러면서 매사추세츠 주보스턴에 '표적이 될 사람'을 한 사람 선택했다. 이 300명에게 표적으로 정해진 사람과 가까울 것으로 여겨지는 친구에게 그 편지들을 보내 달라고 부탁했다. 이 편지를 받는 친구도 똑같은 지시사항을 받게 되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사람들 사이에 고리가 형성되었다. 밀그램은 그 편지가 전달될 때마다 엽서를 받고 송신인과 수신인의 관계를 기록했다. 그 결과 밀그램은 거의 모든 사례에서 두 사람이 연결되기까지 대여섯 개의 고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탠리 밀그램은 많은 사람이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방식으로 인간성에 관한 위대한 통찰을, 간혹 무섭게 느껴지기도 하는 통찰을 제시했다. 논란을 불러일으킨 '복종 연구'가 개인이 할 수 있는 행동의 부정적인 측면을 보여주었다면, 그의 좁은 세상 실험은 사람들의 상호 연결성과 밀접성을 보여줄 수 있었다. 지금까지도 그의 연구는 어마어마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는 심리학 실험 역사상 가장 많이 논의된 심리학자 중 한 명으로 확실히 각인되고 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단에 관한 기본 이론들  (0) 2022.09.05
해리 할로우  (0) 2022.09.02
스탠리 밀그램 - (1)  (0) 2022.08.30
존 보울비  (0) 2022.08.26
레프 비고츠키  (0) 2022.08.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