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4

귀인 이론 Attribution Theory 귀인 이론 Attribution Theory 모든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다 어떤 사람이 자신과 다른 사람의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은 귀인 이론으로 설명된다. 이를 달리 표현해 보자. 사람들이 자신이 보고 있는 사건들을 어떤 식으로 설명하며, 또 그런 식으로 설명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기본적으로, 귀인 이론은 사람들이 자신과 주변 사람들의 행동에 속성을 부여함으로써 그 행동을 설명한다고 주장한다. 귀인이란? 특별한 어떤 행동을 일으키는 것이 무엇인지에 관한 추론을 말한다. 프리츠 하이더 귀인에 관한 이론은 오스트리아 심리학자 프린츠 하이더에 의해 1958년에 처음 소개되었다. 하이더는 그 이론을 '나이브 심리학' 혹은 '상식'이라고 불렀으며 사람들은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인과관계를 발견하려고 노력한다는.. 2022. 9. 14.
리더십 이론 Leadership Theories Leadership Theories 리더가 되는 데 무엇이 필요할까?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심리학계에 리더십 이론에 관한 관심이 피어나기 시작했다. 대공황과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사람들은 '훌륭한 리더의 조건은 도대체 무엇인가'하는 의문을 품게 되었다. 초기의 이론들이 리더의 자질과 추종자의 자질에 초점을 맞췄다면, 후기의 이론은 리더십 기술의 수준과 상황적 요인에 초점을 맞췄다. 리더십에 관한 이론도 상당히 많다. 다음과 같은 8가지 주요 유형으로 구분된다. 위인 이론 리더십에 관한 위인 이론의 바탕에 깔린 중요한 사상은 리더의 능력은 타고나는 것이고 또 리더가 될 수 있는 사람은 따로 있다는 것이다. 위인 이론은 원래 역사학자 토머스 칼라일에 의해 탄생했다. 이 이론이 널리 인기를 얻었던 19.. 2022. 9. 13.
꿈 Dreams Dreams 불이 꺼지고 나면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 심리학에서 꿈은 '사람이 잠을 자는 동안에 경험하는 생각이나 이미지 또는 감정'으로 정의된다. 심리학자들은 사람들이 꿈을 꾸는 이유와 그 꿈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서 아직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꿈에 관한 의미 있는 이론은 몇 가지 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꿈의 내용은 소원의 성취와 관계가 있으며 무의식의 생각과 동기부여와 욕망을 표현하고 있다고 믿었다. 프로이트는 자신의 저서에서 꿈을 두 가지 요소로 나누었다. • 현시적 내용 - 꿈에 실제로 나타나는 생각과 내용과 이미지들을 말한다. • 잠재적 내용 - 꿈에 숨겨져 있는 심리학적 의미를 말한다. 꿈의 뒤에 있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 프로이트는 꿈을 다섯.. 2022. 9. 12.
성격 Personality Personality 무엇이 당신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가? 성격에 대해 논할 때, 심리학자들은 어떤 사람이 가진 것 중에서 그 사람을 독특하게 만드는 생각과 행동, 감정 등을 살핀다. 성격은 뚜렷이 구별된다. 또 성격은 그 사람의 평생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지켜질 것이다. 무엇이 성격을 이루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해석은 많지만, 이 분야에서 대체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특징이 몇 가지 있다. 대체로 행동에는 일관성과 눈에 두드러지는 질서가 있다. 사람들은 다양한 유형의 상황에서도 똑같거나 비슷한 방식으로 행동한다. • 성격은 사람이 행동하고 환경에 반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 성격은 심리학적 개념이긴 하지만, 생물학적 작용도 성격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 행동이 성격을 보여주는 유일한 것은.. 2022. 9. 10.
사랑 Love 당신의 심장에 귀를 기울이다 사랑은 아마도 가장 복잡한 인간 감정의 하나이면서 동시에 가장 핵심적인 감정일 것이다. 사랑에 관한 이론은 매우 다양하다. 심리학자들은 사랑이 인간의 핵심적 감정이라는 데는 동의하지만 감정이 생기는 이유나 생기는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모른다. 현재로서는 사랑과 감정적 애착, 좋아하는 감정에 관해 설명하려고 시도하는 중요한 이론이 네 가지 있다. 루빈의 호감과 사랑의 척도 심리학자 직 루빈은 사랑을 경험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가장 먼저 개발한 사람 중 하나이다. 루빈은 이성 간의 사랑은 세 가지 요소, 즉 애착과 돌봄과 친밀로 이뤄져 있다고 믿었다. • 애착: 다른 사람과 함께 있고 싶고 또 그 사람의 눈길을 받고 싶은 욕구. • 돌봄: 다른 사람의 행복과 욕구를 자기 .. 2022. 9. 9.
지능 이론 Theories of Intelligence 생각에 대한 생각 지능이라는 주제는 심리학에서 가장 논쟁적인 주제의 하나로 남아 있다. 왜냐하면 표준적인 지능에 대한 합의가 아직 한 번도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능이 하나의 능력이라고 믿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지능은 다양한 재능과 기술, 능력이라고 믿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지능은 이성적으로 생각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규범과 관습과 가치들을 이해하고, 상황을 분석하고, 경험에서 배우고, 삶의 요구사항을 잘 처리하는 능력을 포함한다는 데는 대체로 의견의 일치가 이뤄지고 있다. 지금도 마찬가지로 심리학자들은 지능이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것인지 여부를 놓고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지능을 연구하면서, 심리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 지능은 유전되는가? .. 2022.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