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학에서 말하는 '편견' - 편견의 발생 원인

by 잡잡이 2022. 7. 17.

편견은 어떤 집단이나 그 집단의 구성원에 대한 비합리적인 부정적 평가로 정의되며, 객관적 사실보다는 집단 소속에 근거하여 주관적인 형태로 발생한다. 이와 유사한 개념인 고정관념은 어떤 집단이나 구성원의 특징에 관한 인지적 신념이라는 점에서 평가적 감정을 의미하는 편견과 구별된다. 예를 들어, 여자는 순종적이어야 한다는 생각은 고정관념이며, 순종적이지 않은 여자를 싫어하는 감정은 편견이다. 21세기,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절대 있어서는 안 될 무지하고 편협한 현상이다.

편견을 가지면 개인의 판단, 귀인 및 행동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 연구에서 백인이 흑인을 뒤에서 밀치는 장면을 본 백인들은 대부분 장난치고 있다고 판단한 반면에 흑인이 백인을 밀치는 장면에 대해서는 폭력을 가하고 있다고 지각하였다. 또한 인종 편견을 가진 백인은 흑인이 못 사는 이유를 그들의 게으름이나 의지 부족에 귀인 하며, 흑인과 교제하거나 결혼하기를 꺼린다. 엄연한 인종 차별이자 그에 우러나온 편견이다.

대표적인 편견인 인종 편견이나 여성 편견은 최근까지 느리게 감소되어 왔다. 그러나 사람들은 흑인의 인권도 존중되어야 하며, 같은 일을 하는 남녀는 동일한 임금을 받아야 한다는 등의 일반 원칙에는 동의하면서도 구체적인 행동의 실천에는 비협조적이어서 편견은 미묘한 형태로 여전히, 늘, 어디에나 만연하고 있다. 후대에게 물려주어선 안되기에, 우리가 바로잡아야 한다.



편견의 발생 원인

(1) 학습

편견은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일종의 사회적 규범으로서 어릴 때부터 학습된다. 편견을 습득하는 데는 부모, 또래, 매체 및 교과서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인의 지역 편견이 2세에게 그대로 전수된다는 연구 결과는 부모 역할의 중요성을 보여 주고 있다. 대중매체에서도 여성은 주로 가사에 전념한다거나, 특정 지역 사투리를 쓰는 인물의 성격을 획일적으로 묘사하는 등 편견을 은연중에 전파하고 있다. 또한 초·중·고의 교과서 역시 남성 위주의 인물 편성과 전통적 여성상을 강조하여 편견의 학습에 일조하고 있다.

(2) 현실적 집단갈등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영토 분쟁처럼 한정된 자원을 놓고 두 집단이 경쟁할 때 서로 적대감을 가지고 상대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1992년에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코리아타운에서 발생했던 흑인들의 한인 상가 습격 사건도 한인-흑인 간의 상권 확보를 둘러싼 현실적 집단갈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3) 사회적 불평등

불평등한 지위나 분배는 만족스러운 쪽과 불만스러운 쪽 모두 상대에 대한 편견을 갖게 만든다. 지위나 분배에 불만을 지닌 개인이나 집단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껴서 자신보다 더 혜택을 받았다고 생각되는 개인이나 집단에 분개하고 편견을 가지게 된다. 한편, 혜택 받은 집단 또는 강자는 불평등이나 차별을 합리화하기 위해서 약자에 대한 편견을 조장한다. 과거 일본은 우리 민족이 자립 능력과 의지가 부족하다고 깎아내림으로써 불법적인 식민 통치를 정당화하고자 하였다.

(4) 범주화

현실적 갈등이나 불평등이 없더라도 사람을 지각하는 과정에서 자연 발생하는 인지적 편파들로 인해서 고정관념과 편견이 생기기도 한다. 사람들은 타인을 남자와 여자, 젊은이와 늙은이 등 집단으로 범주화해서 지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범주화하게 되면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도식적으로 처리하여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사람들을 '우리'와 '남들', 즉 내집단(ingroup)과 외집단(outgroup)으로 범주화하게 되면 내집단 구성원을 무조건 호의적으로 평가하고 대우하는 내집단 편애 현상이 나타난다. 내집단 편애는 결과적으로 외집단 구성원에 대해서 편견을 가지고 차별 대우하도록 만든다. 타이펠(Taijfel, 1969)이 두 명의 화가에 대한 선호도를 기준으로 피험자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을 평가하도록 한 결과, 피험자들은 집단 구성원과 이전에 전혀 만난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내집단을 더 호의적으로 평가하였다.


썩은 뿌리를 뽑아내려면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차별과 편견, 혐오와 지탄이 만연하는 이 사회에서 우린 우리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싸우고, 연대해야 한다. 그것이 우리의 평생 숙제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