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4

일반화 본능 A Generalized Instinct 일반화 본능 사람은 끊임없이 범주화하고 일반화하는 성향이 있다. 무의식 중에 나오는 성향이지, 편견이 있다거나 깨우치지 못해서 그런 것은 아니다. 우리 사고가 제 기능을 하려면 범주화는 필수다. 범주화는 생각의 틀을 잡는 작업이다. 우리가 모든 주제, 모든 시나리오 하나하나를 정말로 유일하다고 본다면 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무슨 말로 묘사하겠는가. 일반화 본능은 이 책에서 언급한 다른 모든 본능과 마찬가지로 우리에게 필요하고 유용하지만, 때때로 이것은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을 왜곡할 수 있다. 실제로는 매우 다른 사물이나 사람 또는 국가를 같은 범주로 잘못 묶을 수 있고, 같은 범주에 속한 모든 대상을 다 비슷하다고 단정 지을 수도 있다. 그리고 아마도 가장 큰 문제는 소수를 가지고, 심지어 매우 드문 단 .. 2022. 11. 17.
로젠한 실험 The Rosenhan Experiment The Rosenhan Experiment 멀쩡한 사람을 미친 사람들 틈에서 지내게 하면 어떻게 될까? 1973년에 스탠퍼드 대학의 심리학자 데이비드 로젠한은 정신과 의사가 정상적인 정신상태의 사람과 비정상적인 정신상태의 사람을 신뢰할 수 있을 만큼 정확히 가려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함으로써 정신과 의사의 진단에 의문을 제기했다. 로젠한에 따르면, 정신과 의사가 정상인 사람과 비정상인 사람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한다면, 그들은 비정상을 의미 있는 방식으로 진단하지 못할 것이다. 로젠한의 실험은 두 파트로 이뤄져 있었다. 가짜 환자를 이용한 실험 실험을 위해서 로젠한은 8명을 모집했다. 심리학자가 3명, 정신과 의사가 1명, 소아과 의사가 1명, 가정주부가 1명, 화가가 1명, 심리학을 공부하는 .. 2022. 9. 29.
성격 장애 Personality Disorders Personality Disorders 행동이 갈피를 잡지 못할 때 성격 장애는 어떤 사람이 문화적 규범에서 벗어나 있는 행동의 패턴과 내적 경험을 말한다. 이 패턴들은 경직되어 있고 또 쉽게 버려지지 않으며, 청년기나 성인 초반에 시작하고, 그 사람의 일상생활에 심각한 고통과 피해를 안겨줄 수도 있다. 심리학자들은 아직 성격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을 확실히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어떤 전문가들은 이 장애가 유전적 결과라고 믿고 있고, 또 어떤 전문가들은 이 장애의 뿌리가 초기 삶의 경험들, 말하자면 정상적인 행동과 사고 패턴이 발달하지 못하도록 막은 경험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성격 장애를 진단하다 심리학자들은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에 정해진 확고한 기준을 근거로 성격 장애를 진단한다.. 2022. 9. 23.
휴리스틱 Heuristic Heuristic 결정을 빨리 내리다 휴리스틱은 사람들이 문제를 해결할 때 신속하게 이용하는 정신적 전략을 말한다. 종종 "주먹구구식" 전략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 전략을 이용하여, 사람들은 가만히 멈춰 서서 다음 행동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 고민하지 않고 결정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내린다. 휴리스틱은 매우 이로울 때조차도 종종 실수를 낳는다. 이 실수들은 편향으로 불린다. 1974년에 대니얼 카너먼과 에이머스 트버스키는 몇 가지 중요한 형태의 휴리스틱을 찾아냈다.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응용되고 있는 형태이다. 가용성 휴리스틱 가용성 휴리스틱은 사람들이 기억할 수 있는 예들을 바탕으로 어떤 사건이 일어날 확률 혹은 가능성을 판단하도록 돕는다. 이는 종종 편향으로 이어진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발생 가능성을 판단.. 2022. 9. 19.
최면 Hypnosis Hypnosis 연기와 거울, 즉 사기가 아니다 심리학에서 최면은 치료 과정에 이용하는 하나의 기법이다. 최면에 걸리면 환자는 마음이 아주 편안한 상태로 빠져든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는 자신의 마음에 진정으로 집중할 수 있다. 이 상태에 있는 동안에 환자가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것 사이의 연결이 더욱 분명해진다. 최면은 종종 언론에 부정적으로 그려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면은 실제로 치료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불안과 고통의 완화에 최면의 효과가 특히 더 두드러진다. 어떤 전문가들은 치매와 관련 있는 증상을 누그러뜨리는 데도 최면을 이용할 수 있다고 믿는다. 대부분 최면은 치료 과정의 보조 기법으로 이용되며 그 자체가 치료법은 아니다. 최면은 어떻게 작동하나 최면은 개인의 잠재의식을 바꿔놓음으로써 .. 2022. 9. 17.
예술 치료 Art Therapy Art Therapy 회복의 기술 예술은 표현력이 아주 풍부한 매체이다. 예술은 사람들의 소통을 돕고 스트레스 해소를 도울 수 있으며 지금까지 모르고 있던 성격의 다른 부분을 발견해내어 연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심리학에서 예술은 사람의 정신 건강을 향상하는 데 이용되고 심리적 장애를 치료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을 사람들은 예술 치료라고 부른다. 예술의 창조에 필요한 창의적 과정과 정신 치료 기술들을 접목함으로써, 예술 치료는 개인이 자신의 문제들을 풀고 일상에서 직면하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행동을 다스리고, 대인 기술을 향상하고 또 자각과 자제력을 키우도록 돕는다. 예술 치료는 1940년대에 하나의 치료 형식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정신과 의사들이 정신병을 앓는 환자들이 그린 그림에 관심을 쏟.. 2022.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