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앨버트 반두라

by 잡잡이 2022. 8. 13.

앨버트 반두라는 1925년 12월 4일 캐나다의 '먼데어'라는 작은 도시에서 태어났다. 반두라의 아버지는 캐나다 횡단 철도의 선로를 깔았고, 어머니는 도시의 잡화점에서 일했다.

반두라는 그 도시의 유일한 학교에 다녔다. 선생이 딱 2명뿐인 학교였다. 그 결과 반두라는 교육에 관한 건 스스로 알아서 해야 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반두라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에 다녔다. 원래 생물과학을 전공하는 동안에, 반두라는 우연히 심리학을 접하게 되었다. 학교에 수업이 시작하는 시간보다 일찍 도착하는 날이 많았기 때문에, 그는 시간을 보내기 위해 다른 수업을 듣기로 결정했다. 어느 날 강의 시간표를 훑어보다가 심리학 강의를 선택했다.

1949년에 반두라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을 3년 만에 졸업했다. 심리학 전공이었다. 그다음에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해 아이오와 대학 대학원에 진학했다. 1952년에 박사 학위를 받은 다음에 반두라는 스탠퍼드 대학으로부터 교수직 제의를 받았다. 거기서 그는 오늘까지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반두라는 사회적 학습 이론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이론은 행동주의가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모든 행동이 보상이나 강화에 의해 일어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대신에 그는 대안적인, 그리고 다소 미묘한 '사회적 압력'이라는 관점을 제시했다. 사회적 압력이 행동을 배우게 한다는 것이다. 지금도 여전히 높이 평가받는 보다 현대적인 접근법이다.



사회적 학습 이론

심리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학습 이론 중 하나인 앨버트 반두라의 사회적 학습 이론은 행동이 엄밀히 보상이나 강화를 통해서만 학습되는 것이 아니라 관찰을 통해서도 학습된다고 주장한다. 사람들은 주변 사람들의 행동을 근거로 처신하는 방법을 배운다고 그는 강조한다.

사람들은 관찰할 수 있는 모델들로 둘러싸여 있다. 부모와 또래 선생, 심지어 TV 쇼의 등장인물도 그런 모델이다. 이런 인물들은 관찰되거나 각인되었다가 나중에 모방할 수 있는 남녀 행동의 모델을 제공한다. 사람은 자신과 비슷하다고 느끼는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는 경향을 보인다. 종종 모델은 동성의 사람을 의미한다. 반두라의 사회적 학습이론에는 3가지 중요한 개념이 있다.

1. 사람은 관찰을 통해 행동을 배울 수 있다. 이는 살아 있는 모델이나 지시하는 언어적 모델, 아니면 상징적 모델을 통해서 이뤄진다.

2. 심적 상태도 학습에 중요한 한 측면이다. 환경적 강화가 행동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측면이긴 하지만 그것이 유일한 것은 아니다. 만족과 긍지, 성취감은 반두라가 내적 강화라고 부르는 것들의 예이다. 달리 말하면, 내적 생각들이 행동의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3. 학습이 반드시 어떤 행동의 변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행동주의자들은 행동을 배우면 개인의 행동에 영원한 변화가 나타난다고 믿었다. 그러나 반두라는 관찰학습을 통하면 사람이 그런 행동을 하지도 않고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거꾸로, 어떤 행동이 관찰된다고 해서 그것이 배워진다는 의미는 아니다. 사회적 학습이 성공을 거두려면, 몇 가지 요건이 갖춰져야 한다.

주의: 학습하기 위해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주의를 늦추게 하는 모든 것은 관찰학습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 보유: 정보를 저장하고, 그런 다음에 훗날 끄집어내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재현: 주의를 쏟고 정보를 보유한 다음에, 관찰된 행동이 실천되어야 한다. 실천은 곧 행동의 개선으로 이어진다.

• 동기부여: 관찰된 행동을 성공적으로 배우는 데 필요한 마지막 부분은 그 행동을 모방하도록 동기부여를 받아야 한다는 점이다. 강화와 처벌이 개입하는 것이 바로 이 부분이다. 만약 관찰된 행동이 강화된다면, 사람은 그 반응을 되풀이하려 할 것이다. 반면에 관찰된 행동이 처벌받는다면, 사람은 그 행동을 하지 않는 쪽을 택할 것이다.



보보 인형 실험

아이들이 주변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한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반두라는 그 유명한 보보 인형 실험을 고안했다. 실험을 실시하면서, 반두라는 공격적 성향의 모델을 보았던 아이들이 대조 집단이나 비공격적 성향의 모델을 보았던 집단의 아이들에 비해서 보보 인형에게 공격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공격적 성향의 모델을 보았던 소녀들이 모델이 여자일 때에는 언어적으로 보다 공격적인 반응을 보이고 모델이 남자일 때는 육체적으로 더 공격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소년들은 소녀들과 비교하면 육체적으로 더 공격적인 행동을 모방했으며 또 동성의 모델을 더 많이 모방했다.

보보 인형 실험을 통해서, 반두라는 아이들이 다른 누군가의 행동을 봄으로써 사회적 행동을, 이 경우에 공격성을 배운다는 점을 성공적으로 보여줄 수 있었다. 보보 인형 실험을 제시하며 반두라는 모든 행동은 보상과 강화의 결과라는 행동주의의 중요한 주장에 반대할 수 있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 로저스  (0) 2022.08.16
장 피아제  (0) 2022.08.15
존 왓슨  (0) 2022.08.12
필립 짐바르도  (0) 2022.08.10
알프레드 아들러  (0) 2022.08.07

댓글